Tangent는 삼각형에서만쓰는게 아니라
원과 접선한다라는 듯도 내포되어있다.
A Line L is tangent to Circle B
결국 이것도 x증가량 과 y증가량을 피타고라스 방정식에 대입해서 구하겠다는 얘기이다.
찾아야 할 값은 그저 직선과 똑같은 거리를 유지할 포물선 방적식
이번 강의는 아마도 원에서의 문제를 풀기전에, 원을 가지고 어떻게 놀것인지? 그리고 그거를 어떻게 이름을 불러 얘기할 것인지 설명해주는 단계 인것 같다. 좀 더 자세히 서술하면 원과 관련된 기하학의 종류를 설명해주는 단계인것 같다.
간단히 봐서는 안되고 매우 중요하지만 수학은 평생해야한다. 지금 조금씩 공부한다고 대충한다는것을 의미하는것은 아니다. 너무 힘빼지 말고 천천히 꾸준히 이해하길 바란다.
'Mathematics > Geomet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하학 정리29번째 (라디안) (0) | 2021.02.05 |
---|---|
기하학 정리 28번째(원의호 그리고 호의 각도,호의길이) (0) | 2021.02.04 |
기하학 정리 26번째(conic,용어정리) (0) | 2021.01.28 |
기하학 정리 24번째 (삼각형의 세변의 중점의 특징) (0) | 2021.01.28 |
기하학 정리 23번째(두점사이의 관계 복습) (0) | 2021.01.28 |